티스토리 뷰

일상 지식

2025년 연봉 실수령액 및 연봉 계산기

만돌이의 놀이터 2024. 12. 26. 17:24

목차



    반응형

    많은 분들이 월급날을 기달리며 이번 달 실수령액이 얼마나 될지 궁금해 하실텐데요.

    연봉 금액은 커 보이지만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예상보다 적어 당황스러울 때가 있으실텐데요.

    연봉을 세전 금액으로 알고 계약하신다면 세후 실수령액은 훨씬 적게 느껴지는데요.

    연봉 계약을 했을 때, 기대했던 금액과 실수령액 차이를 보고 놀란적이 있었죠?

    세금과 각종 공제항목을 감안하지 않으면 정확한 급여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아래 글에서 2025년 최저시급부터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

     

     

     

     

     

    연봉계산하기

     

     

    2025년 최저임금

     

    일 8시간 5일 근무 기준 금액
    최저 시급 10,030 원
    최저 시급 기준 주급 481,440 원
    최저 연봉 25,155,240 원
    최저 연봉 월급 (세전) 2,096,270 원
    최저 연봉 실수령액 (세후) 1,874,490 원

     

     

     

    2025 4대보험요율

     

    항목 보험요율 (근로자 + 사업주) 근로자 사업주
    국민연금 10% 5.0% 5.0%
    건강보험 7.09% 3.545% 3.545%
    장기요양 보험료 건강보험료의 12.81% 건강보험료의 12.81% 건강보험료의 12.81%
    고용보험 (실업급여) 1.80% 0.900% 0.900%

     

     

     

    2025 연봉 실수령액

    2025년 연봉 실수령액을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연봉별 세전 월급,공제액,실수령액을 간략히 정리한 내용 입니다.

     

    1000만원 ~ 3000만원

    1000만원 ~ 3000만원 연봉 실수령액

     

     

     

     

     

    3000만원 ~ 5000만원

    3000만원 ~ 5000만원 연봉 실수령액

     

     

    5000만원 ~ 8000만원

    5000만원 ~ 8000만원 연봉 실수령액

     

    8000만원 ~ 1억

    8000만원 ~ 1억 연봉 실수령액

     

    연봉 계산방법

    실수령액 계산이 어려우신 분들은 네이버 임금계산기를 사용해보세요.

     

     

    네이버 임금계산기는 연봉, 부양가족 수, 자녀수 등을 입력하면 간단히 예상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제 항목별 세부 내역까지 제공하기 때문에 세금과 보험료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